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 타일 시공 후 백화 현상과 방지 대책

Posted by 사&슬 파파
2024. 5. 21. 08:58 건축시공기술사 Sub Note
728x90

타일 시공 후 백화 현상과 방지 대책

 


1. 백화 현상이란

 

1) 백화의 정의는

  : 백화는 시멘트 중의 가용성분을 용해해서 생긴 용액의 경화체의 표면건조와 함께 수분이 증발함에 따라 용해성분이 표면에 석출된 백색물질 및 이물질이 공기중의 탄산가스등과 반응하여 표면에 침전된 물질을 말한다.

 ① 백화의 종류

   a. 1차 백화 : 시멘트 제품 중에서 시공 후 제품 표면에 가용성분이 석출하는 현상. (자기질 타일에서는 생성되지 않는다.)

   b. 2차 백화 : 타일을 시공할 때 2차수(비.양생수)가 시멘트몰탈에 침투하여 흘러내린 후 건조함에 따라 백색결정이 석출하는 현상으로 특히, 동계 저온일 때나 우기 시공시 다량 발생.

< 타일 백화 현상 >

 

2) 백화의 성분은

  생성장소, 계절, 콘크리트 등의 재령, 치밀도,첨가물 등의 영향을 받으며 동일성분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시멘트나 골재중의 가용성 알카리와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여 생긴 석회화합물의 탄산염과 황산염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다.

 

3) 백화의 종류 

①  타일줄눈의 백화

② 치장벽돌 자체의 백화

치장벽돌 줄눈의 백화

콘크리트, 미장몰탈의 백화

< 타일 백화 현상 >


4) 백화발생의 조건

① 저온, 다습

② 적당한 바람

③ 시멘트 제품의 짧은 재령

 

 5) 백화발생의 원인

 ①일의 뒷면에 물이 스며들어 시멘트 속의 석회를 녹여 수산화석회로 변하여 줄눈 부위에서 외부로 스며 나옴. 이것이 공기중의 탄산가스와 만나게 되어 석회석으로 변하게 되어 백화가 발생함.

 ② 전면이 백색으로 변하는 다공질의 무유 타일이나 유면에 금이 많은 다공질의 시유 타일을 외장에 사용함.

 ③ 타일과 몸체 사이에 붙임용 몰탈을 충분히 바르지 않아서 타일과 건물의 몸체 사이에 물이 침입하여 백화가 발생함.

 ④ 줄눈 채우기가 완전하지 못한 경우 백화의 원인이 됨.

< 타일 백화 현상 >

 

 

2. 백화의 방지 대책

 

 1) 백화의 방지 대책 

 ① 타일과 바탕면의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② 몰탈 자체의 공극을 최소한으로 한다.

 ③ 몰탈반죽을 충분히 해줌으로써 시멘트가 몰려서 백화발생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한다.

 ④ 타일시공시 주요부위 마무리 공사를 충실하게 하여 물이 침투되지 않게 한다.

 ⑤ 줄눈을 충분하고 확실하게 충진한다.- 동계 저온일 때와 음지 등에서는 시공에 세심한 주의를 하여야 한다.

 ⑥ 우천 시에는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공면을 물막이 등으로 보호하여야 한다.

 

2) 백화의 제거방법

① 브러시, 마른 솔로 제거한다.

② 깨끗한 물로 세척한다.

③ 묽은 염산 용액 사용한다.

 

 

2024.04.18 - [건축시공기술사 Sub Note] - 건축시공기술사 용어 : VE (Value Engineering)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