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 CM 제도에 대하여 설명하라.

Posted by 사&슬 파파
2024. 6. 18. 07:50 건축시공기술사 Sub Note
728x90

 

 

 

문제] CM 제도에 대하여 설명하라.

]

 

. 개요

 ① CM(Construction Management)은 건설업의 전 과정인 기획에서 유지관리까지의 업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할 수 있는 건설사업 관리제도이다.

 ② CM은 건축물의 구상에서 완성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통해 품질, 일정, 비용 등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관리하는 관리기술이다.

 

II. CM (Construction Management)의 개념

CM (Construction Management)의 개념

 

 

. CM의 기본형태

1) CM for fee (대리인형)

 ① CM은 발주자의 대리인 역할.

 ② 시공자는 원도급자의 입장이 됨.

 ③ 초창기 CM 형태.

CM for fee ( 대리인형 )

 

2) CM at risk (사용자형)

 ① CM이 원도급자 입장에서 하도급자와 직접 계약

 ② 사업 성패에 대한 책임짐.

 ③ CM의 발달된 형태 선진국 주종.

CM at risk ( 사용자형 )

 

 

IV. CM의 계약 방식

1) ACM (Agency CM)

 ① CM의 기본 형태

 ② 발주자에게 고용되어 활동하는 용역형태

2) XCM (Extended CM)

 ① CM의 계획에서 유지관리까지 건설산업 전과정을 관리

 ② PM과 유사한 방식.

3) OCM (owner CM)

 ① 발주자 자체가 CM 업무 수행.

 ② 전문적 수준의 자체 조직 보유

4) GMPCM (Guaranteed Maximum priceCM)

 ① 계약 시 공사금액이 공사 완료 후 초과되지 않기 위한 조치

 ② 예상 금액의 절감 또는 초과 시 CM이 일정 비율 부담하는 방식

 ③ CM이 하도급 업체와 직접 계약을 체결, 자신의 이익 추구

 

V. CM의 단계별 업무

1) 계획단계 : predesign phase

 ① project 조직의 구성 및 수행 절차서 작성

 ② 사업관리 계획서의 작성

2) 설계단계 ; Design phase

 ① 기본도면, 실시도면 검토

 ② 사공성 검토 및 VE기법적용

3) 발주단계 : precurement

 ① 시공자 선정

 ② 안전관리 계획서 작성

4) 시공단계 : Construction phase

 ① 공사관리 Claim 예방

 ② 공사진도 평가 및 성과분석

5) 완공 후 관계 : post Constraction phase

 - 유지관리 지침서 및 품질보증서 검토

 

VI. 문제점

1) CM 도입의 공감대 부족

 ① 발주처, 설계, 시공자 등 관련자 인식 부족

 ② 사회적 공감대 부족

2) CM 전문인력 부족

 ① 전문성 있는 CM 기관 부재

 ② CM 요원 양성 교육의 부족

3) 자격제도 미비

 - CM에 대한 정부 관련 기관의 무관심

4) 감리제도와 혼돈

5) 정부의 역할 부족

 

VII. 대책

1) 건축 생산 System 개선

 ① 부재의 prefab

 ② 작업의 System

2) CM 전문가 육성

 - CM 전문과정의 교육 및 홍보실시

3) 건설산업의 통합 전산화

 ① CALS의 운영

 ② 자료 체계의 System

4) CM의 활성화

 ① 대규모 project의 발굴로 기술력 축적

 ② 기술 연구 과제 선정.

5) Engineering Service의 극대화

6) 공공기관의 발주

 ① 공공 기관 공사 발주 시 적용.

 ② 발주 기준 설정.

 

VIII. 결론

 ① CM제도의 도입으로 대규모 공사 및 복잡한 공사의 신속 정확하고 확실하게 시공 가능.

 ② 국내제도 정비 등을 통해 건설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도입 시행되어야 할 제도이다.

 

 

 

2024.05.16 - [건축시공기술사 Sub Note] -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 Settlement joint (침하줄눈)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