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고강도 콘크리트의 특성과 시공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답]
Ⅰ. 개요
1) 고강도 콘크리트란 강도, 내구성, 수밀성이 확보되는 고품질의 콘크리트로서 설계기준 강도가 40MPa 이상임.
2) 고강도 콘크리트는 단면의 축소, 경량화가 가능하고, 고성능 감수제 사용으로 시공성 확보가 용이하다.
Ⅱ. 고강도 Concrete의 특성
1) 부재의 경량화
2) 소요 단면 감소
3) 시공능률 향상
4) Creep 현상 적다.
5) 취성 파괴가 우려된다.
6) 내화성에 문제가 있다.
III. 콘크리트의 고강도화 방법
1) 결합재의 강도 개선
- 고성능 감수제의 사용으로 시공연도 개선
2) 활성골재의 사용.
- 인공골재 사용 시공성 좋게한다.
3) 다짐방법 개선
4) 양생 방법의 개선
- 도막 양생및 습윤양생.
5) 보강재의 사용
6) 물시멘트비를 적게 한다
Ⅳ. 품질관리
1. 재료
1) Cement
- 제조 후 2개월 이상 Cement 사용금지
2) 골재
- 깨끗하고, 강하고, 내구적이며 양호한 입도
- 염분, 유기불순물이 함유 안된 것.
3) 혼화재료
- 고성능 감수제 이용 시공성 확보
2. 배합
1) 물시멘트비
① 소요강도와 내구성 고려하여 정함.
② 물시멘트비는 50% 이하로 한다.
2) Slump
- 소요 Slump는 15cm 이하로 한다.
3) 잔골재율
- 가능한한 최소로 하고 시험에 의해 결정
4) 단위수량, Cement량
- 단위수량은 시공연도가 확보되는 범위 내 최소
- 단위 Cement량도 사공연도 확보 범위 내 최소
3. 시공
1) 운반
① 레미콘의 은반거리. 반법 계획
② 재료분리가 되지 않도록 교반하면서 주행
2) 비비기
① 유동화제 사용
② 재료분리 방지
③ 비비기 시간은 4~5분적정
3) 타설 관리
① Cold joint 방지
② 불연속 층 방지
③ 철저한 다짐
④ 철근, 거푸집 진동 안됨.
⑤ 비빔에서 타설까지 60분 이내 적당함. 90분 초과 금지
4) 양생
① 초기양생 철저
② 습운 양생.
③ 진동, 충격 등의 유해한 영향이 없도록 충분히 조치
V. 고강도 콘크리트 개발 방향
1) 고강도 콘크리트 설계기준의 확립
2) 고강도 Cerment의 개발
3) 타설 시 품질관리 확보
4) 공업화
VI. 결론
1) 고강도 콘크리트는 W/C비를 적게하기 위한 혼화제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재료, 배합, 시공 및 양생에 대한 철저한 관리로 품질 유지에 노력해야 한다.
2) 고강도 콘크리트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고강도, 고분말 Cement 개발, 설계기준의 확립, 품질관리 확보, 공업화 및 장비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2024.07.03 - [건축시공기술사 Sub Note] -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 공기와 시공 속도에 대하여 논하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