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말뚝박기 공법과 품질관리 요점을 설명하라.
답]
Ⅰ. 개요
1) 기초(Foundation. Frooting)란 건물의 최하부에 있어 건물의 하중을 받아 지반에 안전하게 전달시키는 구조 부분이다.
2) 기초는 크게 기초판형식과 지정형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Ⅱ. 기초의 종류
1) 기초판형식
① 독립기초
② 복합기초
③ 줄기초
④ 온통기초
2) 지정형식
① 직접기초
- 모래지정
- 자갈지정
- 잡성지정
- 밑창콘크리트지정
② 말뚝기초
- 기능상 분류 : 지지말뚝, 마찰말뚝, 다짐말뚝
- 재료상 분류 : 나무, 기성콘크리트, 현장콘크리트, 강재
③ 강재기초
- well공법, Caisson 공법
III. 종류별 특성
1. 독립기초
① 단일기둥을 하나의 독립된 기초로 지지하는 형식
② 낮은 건물, 창고, 공장 등 긴 긴 span의 건물에 사용
2. 복합기초
① 2개 이상의 기둥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1개 기초판으로 지지하는 방식
② 기둥 간격 좁거나 기초를 대치 경계선 밖으로 내밀 수 없을 때
3. 연속기초
- 일련의 기둥 또는 벽의 하중을 연속된 기초로 지지하는 형식
4. 온통기초
① 상부구조의 전하중을 하나의 기초 slab는 지지하는 형식.
② 지반의 허용 지지력이 작을 때 사용
5. 지지말쭉
① 경질지반 말뚝을 정착 말뚝 선단지지력에 의해지지
② 말뚝의 본체는 기둥과 같은 역할
6. 마찰말뚝
- 말뚝 둘레의 마찰 저항에 의해 지지
7. 다짐말뚝
① 느슨한 사질토에 다수의 말름으로 지반을 압축
② 지반개량 효과 기대
8. 나무말뚝
① 소나무, 낙엽송 등의 곧고 긴생목을 상수면 이하에 박음.
② 경미한 구조 및 상수면이 낮은 곳에 사용
9. 기성콘크리트 말뚝
① 원심력 R.C 말뚝
② PSC 말뚝
③ PHC말뚝(pre-tensioning Centrifugal PHC Pile)
10. 현장 콘크리트 말뚝
1) 관입 공법
① pedestal pile
② Simplex pile
③ Franky pile
④ Raymond pile
⑤ Compressol pile
2) 굴착 공법
① Earth drill
② Benoto 공법
③ RCD공법
3) prepacked Con’c Pile
① CIP
② PIP
③ MIP
11. 강재 말뚝
Ⅳ. 시공 시 주의 사항 (품질관리 사항)
1) 기초판의 충분한 강성유지
2) 부동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3) 말뚝의 수직도를 유지할 것.
4) 말뚝의 보관, 윤반. 타입 시 균열에 유의
5) 굴착 시 수직도 정도관리
6) 공벽 붕괴 방지
7) 건설 공해 최소화
8) Con’c의 품질 확보
V. 결론
① 기초의 형태는 구조계산서와 지반의 조건, 건축물의 규모. 용도 및 현장여건에 따라 정해지며, 기둥 보 등과 같이 주요 구조부의 하나이다.
② 기초가 안정되지 못하면 건축물 전체가 구조적으로 불안정해지므로 기초 시공의 철저한 품질관리가 중요하다.
2024.07.10 - [건축시공기술사 Sub Note] -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 부력을 받은 지하구조물의 부상방지대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