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 도심지 내 저층 건축물을 증축할 때 지하 기초 보강을 위한 underpinning 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Posted by 사&슬 파파
2024. 11. 13. 07:00 시공기술사 Sub Note/건축시공기술사 Sub Note
728x90

 

 

 

문제] 도심지 내 저층 건축물을 증축할 때 지하 기초 보강을 위한 underpinning 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

 

I. 개요

 1) Underpinning이란 기존 건축물의 기초를 보강하거나 새로운 기초를 설치하여 기존 건물을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2) 토공사의 터파기 작업 시에 기존 건축물의 침하를 방지할 목적으로 Underpinning 할 때도 있다.

 

. Underpinning의 적용공사

   ① 건축물이 침하하여 복원할 경우

   ② 건축물을 이동할 경우

   ③ 기존 건축물이 기울 경우

   ④ 기존 건축물의 지지력이 부족할 경우

   ⑤ 기존 구조물 말에 지중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 사전조사

   ① 설계도서 검토

   ② 계약조건 검토

   ③ 입지조건 검토

   ④ 지반조사

   ⑤ 건설공해, 기상

 

. Under Pinning 공법의 종류

 1. Under pinning

  1) 기초보강

   ① 바로받이 공법

   ② 보받이 공법

  2) 지반 보강

   ① 지지지반개량

   ② 이중널말뚝공법

   ③ 차단벽공법

 

V. Under pinning 공법.(기초, 보수보강공법, 기초침하 시 보강 방안) 특징

 1) 바로받이 공법

   ① 자중이 비교적 가벼운 건물 적용

   ② 기존 기초하부에 신설 기초 설치

 2) 보받이공법

   ① 기존 하부에 신설보 설치

   ② 기존 기초 보강

 3) 바닥판 받이 공법

   - 바닥판 전체를 신설 구조물에 받치는 공법.

 4) 약액주입공법

  ① 고압으로 약액을 주입하면서 서서히 인발

  ② 약액의 종류에는 물유리, Cement paste

 5) Compaction grouting system

 6) 이중널말뚝 공법

  ① 인접건물과 거리가 여유있을 때 이중널말뚝공법 적용

  ② 지하수위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침하 방지

 

VI. 시공 시 유의 사항

  ① 부동침하가 생기지 않도록 기초 형식을 기존의 것과 동일하게 실시

  ② 시공 시에는 기초의 부동침하가 허용치 이내가 되도록

  ③ 계측관리를 하여 안전에 대비한다.

  ④ 흙막이 및 주변 상황을 조사한다.

  ⑤ 하중에 관한 조사를 실시한다.

 

VII. 문제점

   ① 지하 매설물이 많다.

   ② 공간이 협소하여 기계화 시공이 어렵다.

   ③ 기존 건축물이 사용중이므로 작업시간에 제약

   ④ 소음 진동 지반변형 지하수위 저하 등의 공해 발생

 

VIII. 개발 방향

   ① 지하 지형도 작성

   ② 소규모 기계 개발

   ③ 계측관리기 개발

   ④ 저공해성 시공성 개발

 

IX. 결론

 1) Underpinning 공사에서는 대상 건축물에 대한 사전조사 및 충분한 검토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2) 변위 측정을 위하여 계측기기를 통한 정보화 시공이 바람직하다.

 

 

 

2024.07.10 - [건축시공기술사 Sub Note] -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 부력을 받은 지하구조물의 부상방지대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