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서중 Concrete 타설 시 발생하는 문제점 및 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답]
Ⅰ. 개요
1) 서중 Con'c는 하루 평균 기온이 25℃를 초과하는 시기에 시공하는 Con'c로 Slump의 저하, 수분의 급격한 증발 등으로 복합적인 결함이 발생한다.
2) precooling공법, prepipecooling 등의 양생법 적용을 검토하고 혼화제를 사용하여 시공성 및 지연성을 확보한다.
Ⅱ. 특징
1) PreCooling 등의 냉각 공법 검토
2) 타설 시 콘크리트 온도는 35℃ 이하 유지
3) Slump치는 18cm 이하에서 정함
4) 단위수량, 단위시멘트량의 최소화 대책 마련
Ⅲ. 기온별 Concrete 분류
Ⅳ. 시공 시 유의 사항
1) 거푸집에 물축임으로 Concrete의 수분 유출 방지
2) Concrete 비빔에서 타설 종료까지 90분 이내
3) Concrete의 응결 지연 대책 마련
V. 문제점
1) Cold joint
① 내구성, 수밀성 저하
② 불연속면 발생
③ Con'c 타설 시 온도가 25℃ 이상에서는 2시간, 25℃ 미만에서는 2.5시간 지나 타설할 경우 joint 발생.
④ 누수 및 중성화의 원인
⑤ 철근 부식
2) 가수(加木) - 재료 분리 발생
① 재료분리 발생
② Con'c의 강도, 내구성 저하
③ 내마모성 저하로 건물 수명 단축
④ 동결융해에 대한 저항성 감소
⑤ 수밀성, 방수성 저하
3) 단위수량 증가
① Con'c 온도 10℃ 상승에 따라 2~5% 증가한다.
② 강도, 내구성이 저하된다.
4) Slump 감소
- Con'c 온도 10℃ 상승에 Slump 2.5cm 감소
5) 공기량 감소
- 내구성 및 시공연도가 저하된다.
6) 응결 시간의 단축
① Cold joint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
② Workability & Finishability가 떨어진다.
7) 강도 저하
- 초기 고온에 의한 장기강도가 저하된다.
- 물시멘트비의 증가로 강도 및 내구성이 저하된다.
8) 균열의 증가
- Bleeding의 증발속도보다 수분의 증발이 빨라 소성수축균열 발생
-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Ⅵ. 대책
1.재료
1) 물
① 낮은 온도의 것을 사용한다.
② 깨끗하고. 기름. 산, 유기불순물이 함유되지 않은 것.
2) Cement
① 중용열 portland Cement 사용
② 수화 발열량이 적은 Cement 사용
3) 골재
① 먼지, 흙, 유기 불순물 포함안된 것.
② 차양 및 살수하여 낮은 온도 유지
4) 혼화제
① 응결 지연재 사용하여 응결 지연
② AE제, 분산제 사용하여 시공성 향상
2. 배합
1) 물시멘트비
① 시공성이 확보되는 범위 내에서 물시멘트비 낮춘다.
② 혼화제를 사용하여 시공연도를 좋게 한다.
2) Slump
① 18cm 이하로 한다.
② 혼화제 사용하면 slump 최소화되고 작업성이 용이해진다.
3. 시공관리
1) 운반
- 운반중 Consistency의 저하 방지 AE감수제 사용
2) 타설
① 시공 시간 단축하기 위해 유동화제 사용
② 타설 속도 조정하고, 연속적으로 중단없이 타설
3) 다짐
- 기계마짐으로 수밀성 확보.
4. 양생
1) PreCooling
① 물, 골재 등을 차게해서 사용
② 타설 시 Con'c 온도는 35℃ 이하로 유지
2) 습윤 양생
① 타설 전 거푸집 살수하여 건조방지
② Sheet나 거적으로 보양 후 실수
3) 피막 양생
- 수분 증발을 방지
4) 차양막 설치
VII. 결론
1) 서중 Con'c는 타설 시 수화열을 낮게 하고, 습윤양생을 실시하여 경화 전 수축으로 발생하는 균열방지가 중요함.
2) 혼화제 사용, precooling, pipecooling의 채용이 검토되고 기온이 낮은 저녁에 타설하는 것이 유리함.
2024.04.04 - [건축시공기술사 Sub Note] -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 서중 콘크리트 (hot weather Concr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