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Con'c의 균열 원인 및 방지 대책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답]
Ⅰ. 개요
① Concrete의 균열 원인으로는 재료상의 물체, 재료 분리 건조 수축, 중성화, 동결융해 등이 있으며 균열이 심할 경우 누수 및 안전성에 위협이 되기도 한다.
②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은 굴열 발생 원인을 사전에 파악하여 방지에 힘써야 한다.
Ⅱ. Con'c 균열의 종류
1. 미경화 콘크리트 균열
1) 소성 수축 균열
① 넓은 slab에서 bleeding 속도보다 표면수의 증발속도가 빠를 때 발생하는 균열임.
② 거푸집의 누수가 심한 경우 발생함.
③ 초기 콘크리트 표면에 수분이 부족한 경우 발생함.
2) 침하 균열
① 타설 후 Con'c의 침하로 발생하는 균열임.
② 철근 또는 다른 매설물에 의해 상부에 나타나는 균열을 말함.
③ 묽은 비빔 시 bleeding에 의한 균열임.
2. 경화 콘크리트의 균열
1) 건조 수축으로 인한 균열
2) 거푸집 변형에 의한 균열
① 긴결 철물의 부족
② 동바리 변형에 따른 부동침하
3) 부동침하에 의한 균열
① 지보공의 기초가 부동침하 발생
② 지보공 자재 불량
4) 피복두께 부족
- 철근의 피복두께가 부족할 때 균열 발생
5) 진동, 충격에 의한 균열
6) 동바의 해체 시기 부적정에 의한 균열
Ⅲ. Concrete 균열 발생의 원인
1) 장시간 혼합 일반
① 레미콘의 장시간의 Mixing
② 레미콘 재료 분리 현상 발생이 균열의 원인임.
2) 타설 시 가수
- 블리딩 현상 발생
3) 피복두께 미확보
- 철근의 피복 두께 부족 시 균열
4) Con'c 타설 속도
① 급속한 Con'c 타설 속도에 인한 균열
② Con'c 타설 순서 잘못으로 인한 균열
5) 거푸집의 처짐
6) 동바리 설치 불량
7) 거푸집의 처짐
8) 경화 전 진동, 충격
9) 급격한 건조
10) 지보공의 침하
Ⅳ. 대책
1) 정확한 시공 절차 준수
① 타설 속도 준수
② Con'c 타설 순서 준수
③ Con'c 가수 금지
3) 유동 화제 적정 첨가
4) W/C비의 저감
5) 외기온 고려한 양생 계획
① 표면 급격 건조 방지
② 보온재 덮개 시공
6) 단위수량 저감
7) Cement 알칼리량 저감
8) 해사 사용 금지
9) 다짐 충분하게 시공
V. 보수 보강 공법
1) 표면 처리 공법
- 경미한 균열, Cement paste 마감
2) 충전공법. (V-Cut법)
① 0.3mm 이하의 주입 어려운 균열에 실시함.
② V-Cut 후 모르타르 또는 epoxy 수지 충전함.
3) 주입공법
- 주입용 pipe 설치, 저점성 epoxy 수지 주입
4) 강재 Anchor 공법
- 꺽쇠형 Anchor른 더이상 진행되지 않게 하는 공법임.
5) 강판부착공법
- 균열 부위에 강판 부착 epoxy 수지로 채우는 공법
6) prestress 공법
- 절단우려 있는부분 PS 강선으로 잡아줌
7) 탄소섬유 Sheet 공법
- 탄소섬유 sheet를 Con'c 표면에 접착 구조체를 보강하는 공법
VI. 결론
콘크리트의 균열의 원인이 되는 재료 선정, 배합 설계, 시공 등의 철저한 품질관리를 통하여 강도. 내구성, 수밀성이 확보되는 Con'c를 생산하여야 한다.
2024.03.19 - [건축시공기술사 Sub Note] -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 건축물에 있어서 콘크리트의 균열의 원인과 그 대책·보수·보강공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