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응시자격 및 합격률에 대해서 알아보자
대한민국의 국가기술자격은 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로 구분된다.
각 등급마다 응시자격이 다르고, 난이도와 합격률에도 차이가 있다.
● 국가기술자격은 왜 중요할까?
✅ 전문성을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기준
✅ 건설, 기계, 전기, IT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수 자격
✅ 취업과 승진에 유리한 요소
▉ 국가기술자격의 체계 및 응시자격
국가기술자격은 기술사 → 기능장 → 기사 → 산업기사 → 기능사 순으로 난이도가 높아진다.
● 각 자격별 응시자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자격 등급
|
응시자격
|
특징
|
기술사
|
관련 분야 기사 취득 후 4년 이상 경력 or 관련 분야 실무 9년 이상
|
최고 수준의 전문 기술자
|
기능장
|
관련 분야 기능사 취득 후 5년 경력 or 산업기사 취득 후 3년 경력 or 기사 취득 후 1년 경력
|
숙련 기술자로서 기능인을 지도
|
기사
|
관련 학과 4년제 졸업(예정)자 or 산업기사 취득 후 1년 경력 or 관련 분야 실무 4년 이상
|
이론과 실무를 갖춘 중급 기술자
|
산업기사
|
관련 학과 2~3년제 졸업(예정)자 or 기능사 취득 후 1년 경력 or 관련 분야 실무 2년 이상
|
실무 위주의 중급 기술자
|
기능사
|
학력·경력 제한 없음
|
초급 기술자로 기능 중심
|
● 응시자격을 쉽게 정리하면?
- 기능사 → 누구나 가능
- 산업기사 → 관련 학과 졸업 or 기능사 후 경력 필요
- 기사 → 4년제 대학 졸업 or 산업기사 후 경력 필요
- 기능장 → 기능사·산업기사·기사 취득 후 일정 경력 필요
- 기술사 → 기사 취득 후 4년 이상의 실무 경험 필요

▉ 각 자격별 합격률 분석
기술 자격의 난이도를 이해하려면 합격률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다음은 최근 몇 년간 평균 합격률을 기준으로 정리한 표다.
자격 등급
|
필기 합격률
|
실기 합격률
|
전체 평균 합격률
|
기술사
|
약 10~15%
|
약 30~40%
|
10% 내외
|
기능장
|
약 15~20%
|
약 50~60%
|
30~40%
|
기사
|
약 20~30%
|
약 50~60%
|
30~40%
|
산업기사
|
약 25~35%
|
약 50~60%
|
35~45%
|
기능사
|
약 50~60%
|
약 70~80%
|
60~70%
|
● 난이도를 쉽게 정리하면?
- 기술사 → 최저 합격률, 최고 난이도 (전문가 수준)
- 기능장 → 숙련 기술자 수준, 하지만 기사보다 어렵고 기능사보다 쉬움
- 기사 & 산업기사 → 중급 기술자, 실기에서 많이 떨어짐
- 기능사 → 기본적인 실무 능력, 합격률 높음
▉ 국가기술자격별 특징 및 역할
① 기술사 (Professional Engineer)
- 최고 수준의 기술 자격
- 국가와 기업의 기술 개발, 연구, 프로젝트 총괄
- 공학적 문제 해결, 안전 기준 설정, 고급 컨설팅 역할
- 예시: 건축시공기술사, 건축구조기술사, 기계기술사, 토목시공기술사 등
② 기능장 (Master Craftsman)
- 숙련된 기능자로서 현장 리더 역할
- 후배 기술자 지도 & 기술 개선 역할
- 현장 중심의 기술 노하우 보유
- 예시: 용접기능장, 전기기능장 등
③ 기사 (Engineer)
-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중급 기술자
- 기업에서 실무 수행 및 기술 지원 역할
- 일정 규모 이상의 건설·설비 작업 시 기사 등급 이상 필수
- 예시: 전기기사, 건축기사, 토목기사 등
④ 산업기사 (Industrial Engineer)
- 실무 위주의 중급 기술자
- 기사보다 한 단계 낮은 자격이지만, 실무에서 많이 활용됨
- 중소기업 및 협력업체에서 실제 작업 수행
- 예시: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등
⑤ 기능사 (Craftsman)
- 기술을 처음 배우는 사람도 응시 가능
- 실무 중심으로 기초적인 작업 수행
- 제조, 생산, 유지보수, 시공 등의 분야에서 활동
- 예시: 용접기능사, 미용기능사 등

▉ 국가기술자격 취득 시 장점
① 취업 기회 증가
- 기업에서 자격증 보유자를 우대
- 일부 직종(전기, 건축 등)은 필수 자격
② 승진 및 연봉 인상
- 기술직에서 승진할 때 기사, 기능장, 기술사 자격이 필수
③ 창업 가능
- 기능장, 기술사는 직접 사업 운영 가능 (건축, 전기, 기계 등)
④ 국가 지원 사업 참여 가능
- 정부 프로젝트 수행 시 일정 수준 이상의 자격 보유자 필요
▉ 결론 & 마무리
● 어떤 자격을 선택해야 할까?
① 실무 경험이 없는 사람
- 기능사 → 기초 기능 습득
- 기능사부터 시작
② 대학 졸업 & 중급 기술자 목표
- 기사 → 중급 기술자 (이론 + 실무)
- 산업기사 → 실무 중심 기술자
③ 현장 경험이 많고, 리더 역할 희망
- 기능장 → 숙련 기능자 (현장 리더)
④ 고급 엔지니어 & 연구개발 목표 → 기술사
- 기술사 → 최고 전문가 (난이도 최상)
🎯 어떤 목표를 가졌느냐에 따라 적합한 자격을 선택하자!
2025.03.14 - [건축시공기술사 Sub Note] - 기술사의 건축이야기 : 건축구조기술사 응시 자격과 업무 및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