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 온돌바닥 방통몰탈 타설 시 현장관리기준

Posted by 사&슬 파파
2024. 5. 20. 07:50 건축시공기술사 Sub Note
728x90

온돌바닥 방통몰탈 타설 시 현장관리기준

 

 

1. 재료 및 배합

1) /시멘트비를 적정하게 유지할 것.

  ▪ 기준치 65 ~70% 이하

  ▪ 반드시 최대 70%를 넘지 말 것

  ▪ 보통 현장에서 작업 유동성 확보를 위하여 75 ~ 80% 유지함

 

2) 모래 골재의 조립율은 2.5 이상 확보할 것.

  ▪ 최적 기준치 2.9 (염화물함유량 기준: 0.04%이하,절건중량대비)

  ▪ 보통 현장에서 일반 레미콘 배합 모래를 전용하여 사용. 일반적으로

  조립율 낮음

 

3) 시멘트성분 중 플라이애쉬 치환량 반드시 체크할 것.

  ▪ 기준치 10% 이하

 

4) 시멘트 성분 중 팽창재 비율 체크할 것.

  ▪ 기준치 : CSA계열 10% 이하

  ▪ 생석회-석고 계열 20.83% 유지 (쌍용 방통용 시멘트 경우)

 

5) 시멘트와 골재 비율 일정하게 유지할 것.

  ▪ 기준치 - 1 : 3

  ▪ 공장배합 - 시멘트 480/, 골재 1,440/, 336/

  ▪ 현장배합 - 시멘트 510/, 골재 1,530/, 357/

  ▪ 외부환경(온도,습도,바람) 조건을 고려하여 소량 변경 가능

< 마감재종류에 따른 방통두께>
< 마감재종류에 따른 방통두께>

 

2. 타설 전

1) 경량 기포Con'c 압축강도 5/이상 확보 시 후속 작업할 것.

  ▪ 난방배관 및 기포층 사전 살수 등

< 경량 기포 콘크리트 타설 >

2) 경량 기포Con'c 적정양생 후 방통 몰탈 타설할 것.

  ▪ 기준 : 7일 이상 양생 후 7일내 타설 (15일 이내)

  ▪ 외부 온도를 고려하여 방통몰탈 타설 시점 조정 가능 (여름철)

<방바닥 타설>

 

3) 외기환경(온도, 습도, 바람)에 적절한 대책을 강구할 것.

  ▪ 개구부 비닐 보양, 기포층 사전 살수 등

  ▪ 풍속 2.5 m/sec 이상, 습도 60% 이하 일때 소성수축균열 발생

 

4) 난방파이프 위 몰탈 타설 두께는 최소 20이상 확보할 것.

  ▪ 기준 미달 시 크랙 유도 또는 박리가 나타날 수 있음

 

5) 경량 기포con'c 표면의 이물질 제거 및 난방파이프 확실히 고정할 것.

  ▪ 타설 전 난방파이프 누수 및 수평상태 체크 (평활도 허용 오차 5mm/3m 이하)

 

6) 벽체부분 발포 Joint tape 처리할 것.

  ▪ 방통 몰탈 타설 Level을 일정하게 하고 5mm 이하로 설치

  ▪ W = 80 ~ 100mm이내 , T = 5mm이상

 

7) 크랙 발생 예상부위 메탈라스 보강할 것.

  ▪ 옹벽코너 및 거실복도 Joint 구간

  ▪ 분배기 앞, 기타 부위

<크랙 예상부위 메탈라스 시공>

 

8) 경량 기포con'c 사전 살수할 것.

  ▪ 과다 살수로 층간차음재 하부 물 고임 주의

  ▪ 최적시기에 최소량으로 살수(방통몰탈의 수분증발량 1.0kg//hr 이하로 유지)

 

9) 실내온도 섭씨 2이하 타설 금지할 것.

  ▪ 기 타설 몰탈 부위는 5이상 유지 (열풍기 or 난방)

 

 

3. 타설 시

1) 몰탈 압송(Pumping)장비는 유압식 45마력 이상의 장비를 사용할 것.

  ▪ 50 ~ 60마력 장비 권장 (20층 이상)

 

2) 배합비 준수 할 것.

  ▪ 과도한 가수는 균열, 강도저하 주요인

  ▪ /시멘트비 최대 70% 이하로 유지

 

3) 타설 작업은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실시할 것.

  ▪ 여름철 타설시 경시변화로 급격한 Slump치 감소 주의 (믹서후 60분 이내 타설)

 

4) 물 빠짐 시간을 정확히 체크하여 초기 균열발생을 방지할 것.

  ▪ 1일 타설량 조정 및 충분한 미장 인력확보 (미장공 1인 최대: 550/1일 미만)

 

5) 쇠흙손 마감은 4~5회 이상 반드시 실시할 것.

  ▪ 물 빠짐 시간에 맞추어 2, 3차 미장 작업 실시

  ▪ 보통 현장에서 타설시 1, 마감 2, 마무리 1회 실시함

<쇠흘속 마감 >

 

4. 타설 후

1) 방통몰탈 타설 후 충분한 습윤양생 조건이 될 수 있도록 철저히 관리할 것.

  ▪ 기준 : 7일 습윤양생

  ▪ 살수 시 후속공정 자재에 물이 묻지 않도록 주의

  ▪ 여름철 4일 이상, 기타 6일 이상 살수 습윤양생

  ▪ 동절기 양생 시 살수 생략 가능

 

2) 타설 후 외기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창문, 출입문 등의 개구부를 폐쇄할 것.

  ▪ 바람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는 현장일 경우는 필수사항 임 (풍속 2.5 m/sec 이상 일때)

<외부 방풍막 시공>

 

3) 타설 후 일정기간 중량물의 이동 및 몰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작업은 금지할 것.

  ▪ 기준 : 7

  ▪ 공정상 타일 Box 및 천정 석고자재 주의

 

4) 난방가동은 방통몰탈 타설 후 최소 3개월 경과 후 시행할 것.

  ▪ 크랙보수 완료 후 실시

  ▪ 몰탈 표면의 양생정도 및 강도 참조 (210/이상)

 

5) 크랙 보수는 양생기간 최소 3개월 이후 실시할 것.

  ▪ 크랙진행 완료 후

  ▪ 난방가동 후 필요에 따라 2차 크랙 보수는 흡수율 6% 이하 일 때 실시

 

 

 

2024.04.30 - [건축시공기술사 Sub Note] - 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 클라이밍 시스템 비교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