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정평가사 응시자격과 업무 및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자

Posted by 사&슬 파파
2025. 3. 20. 07:00 이런저런 이야기
728x90

 

 

감정평가사 응시자격과 업무 및 전망에 대해서 알아보자

 

 감정평가사는 부동산, 동산, 무형자산 등의 가치를 평가하는 전문가로, 공신력 있는 감정평가서를 작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감정평가사가 되려면 국가공인 감정평가사 시험을 통과해야 하며, 일정한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1. 감정평가사 응시자격

1) 1차 시험 응시자격

- 제한 없음: 학력, 경력 등의 제한 없이 누구나 응시 가능

2) 2차 시험 응시자격

다음 조건 중 하나를 충족해야 합니다.

1차 시험 합격자

학점은행제 또는 대학 졸업 요건 충족자

- 평가 관련 학점(법학, 경제학, 부동산학 등) 90학점 이상 취득

- 학점은행제, 방송통신대 등에서 학점을 이수하여 응시 요건을 맞출 수도 있음

감정평가 관련 실무 경력 보유자

- 감정평가법인 또는 관련 기관에서 일정 기간 이상 근무한 자

외국 감정평가사 자격 보유자

※ 1차 시험 합격자는 2년간 2차 시험 응시 자격이 유지됩니다.

 

 

 

2. 감정평가사 1차 시험 과목 및 합격 기준

1) 1차 시험 객관식 5과목

경제학원론

회계학

부동산학원론

감정평가관계 법규

민법

2) 합격 기준

- 매 과목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

3) 1차 시험 합격률:

- 2019년: 44.28% (응시자 1,766명 중 782명 합격)

- 2020년: 23.27% (응시자 2,028명 중 472명 합격)

- 2021년: 36.87% (응시자 3,176명 중 1,171명 합격)

- 2022년: 24.08% (응시자 3,642명 중 877명 합격)

- 2023년: 32.15% (응시자 5,515명 중 1,773명 합격)

 

 

3. 감정평가사 2차 시험 과목 및 합격 기준

1) 2차 시험 3과목(논술형, 서술형)

감정평가실무

감정평가이론

감정평가 및 보상법규

2) 합격 기준

- 매 과목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

3) 2차 시험 합격률:

- 2019년: 15.03% (응시자 1,203명 중 181명 합격)

- 2020년: 16.37% (응시자 1,124명 중 184명 합격)

- 2021년: 13.25% (응시자 1,532명 중 203명 합격)

- 2022년: 11.20% (응시자 1,803명 중 202명 합격)

-2023년: 8.58% (응시자 2,377명 중 204명 합격)

 

4. 3차 시험 (면접)

- 2차 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직업 윤리, 실무 관련 질문이 포함된 면접 시험 진행

 

5. 감정평가사의 주요 업무

감정평가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공정한 자산 가치를 평가하는 역할을 합니다.

1) 부동산 감정평가

부동산(토지, 건물 등)의 경제적 가치를 산정하는 업무로,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필요합니다.

일반 부동산 매매: 부동산 매매 시 적정 가격 산정

금융기관 대출: 담보 대출을 위한 부동산 가치 평가

재개발·재건축: 사업 추진 시 조합원 분담금 및 보상금 산정

국·공유지 매각 및 임대: 정부 및 지자체가 보유한 부동산의 가치 평가

2) 보상 감정평가

국가나 공공기관이 도로, 철도, 공원 등의 공공사업을 추진할 때, 토지나 건물을 수용해야 하는 경우 감정평가가 필요합니다.

수용 보상 평가: 토지나 건물이 공익사업으로 수용될 경우 적정 보상금 산 정

손실 보상 평가: 영업 손실, 건물 이전 비용 등 보상금 산정

이주 보상 평가: 주민 이주 비용 평가

3) 기업 자산 감정평가

기업이 회계·재무적 목적을 위해 자산을 평가해야 하는 경우 감정평가가 필요합니다.

M&A(기업 인수·합병) 평가: 기업의 순자산 및 무형자산 가치 평가

재무보고 목적 평가: 기업 회계처리를 위한 감정평가 (IFRS 기준 적용)

부동산 투자회사(REITs) 평가: 상장 부동산 투자회사 자산 가치 평가

4) 세금 및 소송 관련 감정평가

세금 산정 및 법적 분쟁 해결을 위해 감정평가가 필요합니다.

상속·증여세 평가: 국세청 기준에 따른 적정 자산 평가

재산세·양도소득세 평가: 세금 부과의 적절성 검토

이혼·상속 분쟁 평가: 재산 분할을 위한 감정평가

법원 감정 업무: 법원의 요청에 따라 소송과 관련된 감정평가 수행

5) 기타 감정평가 업무

동산 감정평가: 기계, 설비, 공작물 등의 가치 평가

무형자산 감정평가: 특허권, 브랜드 가치, 라이선스 평가

해외 부동산 감정평가: 국내 기업의 해외 부동산 투자 시 가치 평가

감정평가사가 수행하는 업무

 

 

6. 감정평가사의 전망 및 연봉

1) 감정평가사 전망

- 공공기관, 금융권, 부동산 투자업계에서 감정평가사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

- 감정평가사 자격을 보유하면 감정평가법인, 회계법인, 투자회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 가능

2) 감정평가사 연봉

- 신입 감정평가사: 연봉 4,000~6,000만 원

- 경력 감정평가사: 연봉 1억 원 이상 가능

- 개인 사무소 운영 시 수익이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있음

 

7. 감정평가사 자격 취득 후 진로

1) 감정평가법인 취업

- 감정평가법인은 주로 대형 부동산 감정평가를 수행하는 곳으로, 법인에 소속되어 실무를 익히고 경력을 쌓을 수 있음

2) 공공기관 취업

- 한국감정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 금융감독원 등 공공기관에서 감정평가사로 활동 가능

3) 프리랜서 감정평가사

- 개인 감정평가사 사무소를 운영하며 법원, 기업, 개인 의뢰인 대상으로 감정평가 업무 수행

 

 

8. 감정평가사 시험 준비 공부 방법

1) 1차 시험 (객관식)

- 경제학, 회계학 등 기초 개념 정리 필수

- 민법 및 감정평가관계법규 암기 중요

- 온라인 강의(에듀윌, 박문각, 해커스 등) 활용 가능

2) 2차 시험 (논술형)

- 서술형 답안 작성 연습 필수

- 감정평가 실무 경험이 중요한 만큼 사례 분석 연습 필요

3) 3차 면접 시험

- 감정평가 윤리, 직업 의식 관련 질문 대비

 

9. 감정평가사 시험 일정 및 접수 방법

- 시험 주관 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Q-Net)

- 시험 일정: 매년 1차 시험(3,4월), 2차 시험(6,7월), 3차 시험(10,11월)

- 접수 방법: Q-Net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접수 가능

 

 

 

10. 결론 & 마무리

감정평가사는 부동산 및 자산 평가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문 직업으로, 자격 취득 시 높은 연봉과 안정적인 커리어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시험이 어렵고 실무 경험이 중요한 만큼 충분한 준비가 필요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