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시공기술사 서브노트 : 품질관리에 쓰이는 7가지 기법 (tool)을 설명하라.

Posted by 사&슬 파파
2024. 6. 20. 07:50 건축시공기술사 Sub Note
728x90

 

 

문제] 품질관리에 쓰이는 7가지 기법 (tool)을 설명하라.

]

 

. 개요

품질관리란 공사 목적물을 경제적으로 만들기 위한 관리 수단으로 전 구성원이 참여하여 실시되어야 한다.

품질관리기법 7가지 기법(Tool)으로는 관리도, 히스토그램, 파레트도, 특성요인도, 산포도, 체크시트, 층별 등의 기법이 있다.

 

. 품질 관리 단계

Plan : 계획을 세운다.

Do : 계획에 대해 교육하고 실행.

Cheek : 실행한 것이 계획대로 되었는지 검사및 확인.

Action : check 사항에 대한 조치를 취함.

위의 PDCA 자정을 cycle.

 

.  7가지 도구

1) 관리도

공정의 상태를 나타내는 특정치에 관해서 그려진 graph로서 공정을 관리상태(안전)로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

제조공정이 잘 관리된 상태에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관리도 >

 

2) 히스토그램(histogram)

계량치의 data가 어떠한 분포를 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작성하는 그림으로 일종의 막대 그래프.

공사 또는 제품의 품질 상태가 만족한 상태에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

< 히스토그램 (histogram) >

 

3) 파레토도(Pareto diagram)

불량 등 발생 건수를 분류 항목별로 나누어 크기 순서대로 나열해 놓은 그림.

중점적으로 처리해야 할 대상 선정 시 유효.

< 파레토도 (Pareto diagram) >

 

4) 특성요인도(Causes and effects diagram)

품질의 특성 (결과) , 요(원인)이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가를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작성한 그림이다.

모양이 생선뼈 모양을 닮았다는 점에서 생선뼈 그림(fish-bone diagram)이라고도 한다.

< 특성요인도 (Causes and effects diagram) >

 

5) 산포도 (산점도, Scatter diagram)

대응하는 두개의 짝으로 된 datagraph 용지 위에 점으로 나타낸 그림.

품질 특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두 종류의 상호관계 파악.

< 산포도  ( 산점도 , Scatter diagram) >

 

6) 체크시트(Check Sheet)

 - 계수치의 data가 분류 항목의 어디에 집중되어 있는가를 알아보기 쉽게 나타낸 그림 또는 표.

7) 층별 (Stratification)

 -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많은 Data를 어떤 특징에 따라 몇 개의 부분 집단으로 나누는 것.

 

IV. 품질관리가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1) 시공 능률의 향상 - 장비 가동률 향상.

2) 품질 및 신뢰성의 향상 - 시장가치를 증대시킴.

3) 설계의 합리화 - 불량요인 제거

4) 작업의 표준화 작업 표준을 개선할 수 있음.

5) 품질관리를 통한 합리적인 시공으로 원가절감

6) Claim 억제 - 신뢰도 증가.

7) 공기단축 재시공 및 하자기간 단축

 

V. 결론

 ① 품질관리는 과정을 중요시하는 합리적인 사고와 품질 확보가 곧 원가절감이라는 품질에 대한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② 현장 조건에 맞는 적정한 기법을 선정하여 시행해야 한다.

 

 

2024.05.21 - [건축시공기술사 Sub Note] - 건축공사 특기시방서 : 바닥재공사 특기시방서(特記示方書)

728x90